19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-원 환율은 1,130원대의 좁은 등락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.
시장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포지션플레이에 나서지 않으면서 달러화는 1,130원 선 부근에서 정체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.
최근 달러-위안(CNY) 고시환율이 상승할 때마다 이에 연동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방향성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.
오전 11시에 집중된 중국의 경제지표 발표가 달러화를 움직일 수 있는 재료다.
9월 산업생산, 소매판매, 3분기 국내총생산(GDP) 등의 발표로 위안화 방향이 엇갈릴 가능성이 있다.
달러화는 1,120원대 결제수요와 1,130원대 네고물량에 막힌 좁은 변동성을 나타 낼 수 있다.
이날 눈여겨 볼 이벤트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다.
보통 외환시장의 금통위 민감도는 그리 높지 않다.
그러나 이번 금통위는 금리인상의 시그널을 확인할 가능성이 커 시장 참가자들의 시선이 쏠릴 수 있다.
한은은 금통위가 직후 이날 오후 2017~2018년 경제성장 전망을 발표한다.
최근 국제통화기금(IMF)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%로 제시했다.
한은도 이에 동참할지 주목된다.
한은의 경제성장 전망 발표는 오후에 나오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에서 수치가 언급된다.
이 총재의 발언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.
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이 나올지 여부와 국내 경기가 얼마나 견조한 회복세를 이어 가고 있는지에 대한 한은의 코멘트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.
달러화는 1,130원대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지만 한은의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, 금리인상 시그널이 분명할 경우 원화 강세 기대가 일시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.
코스피가 역대 최고치에서 조정을 받고 있다. 코스피가 국내 경기에 대한 기대로 탄탄하게 움직일 경우 이 역시 달러화를 무겁게 만들 수 있다.
다만, 외국인 주식순매도가 조금씩 이어지고 있어 달러화 하단을 떠받칠 가능성 이 크다.
달러화 1,120원대는 추격 매도하기에는 낮고, 매수하기에는 상승폭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레벨이다. 달러화 1,130원대에도 매수와 매도 한쪽으로 기울 정도의 강력한 모멘텀은 없는 상태다.
역외 차액결제선물환(NDF) 환율은 상승했다. 역외 외환시장에서 달러-원 1개월물 은 1,132.00/1,132.50원에서 최종호가됐다.
이는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(-0.25원)를 고려하면 전일 현물환 종가(1,129.90원) 대비 2.60원 상승한 수준이다. 저점은 1,132.00원, 고점은 1,133.00원이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