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러/원 환율이 새해 4거래일 연속 올라 1년 반 만에 1200원대 종가를 기록했다.
전일비 4원 오른 1200.9원에 개장한 환율은 1190원대로 반락하기도 했지만, 4.1원 상
승한 120.1원에 마감해 2020년 7월 24일 이후 최고가로 마감했다.
미국 연방준비제도(연준) 12월 회의 의사록에서 조기 금리 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 가
능성이 시사되자 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가 급등했고 이에 달러/원은 개장과 함께
1200원대로 상승 출발했다.
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관리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금리를 예상보다 빨리
인상할 수 있고, 금리 인상 후에는 상대적으로 조기에 대차대조표 규모를 축소하기
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.
달러/원은 개장 직후 1201.4원에 고점을 기록했지만 이후에는 1190원대 후반으로
밀려났다.
환율 1200원대 상승에 따른 네고와 당국으로 추정되는 달러 매물에 달러/원은 상단
저항력을 형성했다.
현대글로비스 6천억원 규모의 블록딜과 대우조선해양의 5천억원대 선박 수주 공시
등에 달러/원 상단은 눌렸고 이후 환율은 1197원선까지 되밀렸다.
하지만, 오후 들어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작년 4월 이후 최고치인 1.73%선으로 상
승하자 글로벌 달러도 주요 통화 대비 강세 압력을 키웠다.
이에 달러/원은 재차 역내외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200원대로 복귀해 마감했다.
장 마감 부근 당국 개입 경계감을 키웠지만 당국의 별다른 대응은 없던 것으로 추정되
면서 달러/원은 일간 고점 부근에서 종가를 형성했다.
한 은행 외환 딜러는 "오늘도 네고가 많이 나왔다.
하지만 장 마감 부근 환율이 오름폭을 키워 마감하면서 역외 거래에서 환율이 더
올랐다"고 말했다.
다른 은행 외환 딜러는 "네고가 많았지만 외은 중심의 비드도 여전히 강했다"면서 "당
분간 달러/원은 급등세는 아니라도 환율이 잠시 빠지면 이를 받아내는 등 꾸준히 차곡
차곡 오르는 흐름이 지속될 것 같다"고 말했다.
코스피는 1.13% 하락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1800억원치를 사들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