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일 달러/원 환율이 2주 만에 1170원대로 하락 마감했다. 전일비 3.5원 밀린 1184.4원에 개장한 환율은 한 때 1177.3원까지 미끄러지다 8.7원 내린 1179.2원에 거래를 마쳐 지난 11월 15일 이후 최저 종가를 기록했다. 이날 환율은 개장 직후부터 하방압력을 거세게 받았다. 전날부터 무거웠던 수급 분위 기가 오늘까지 이어지면서 달러/원은 계속 뒷걸음질쳤다. 코로나 새 변이종인 오미크론 우려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(연준) 의장의 테이퍼링 가속화 시사 발언 등에 뉴욕 증시가 약세를 보였지만 아시아 시간대에서는 시장심리 가 회복됐다. 파월 의장은 30일(현지시간)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존의 '일 시적'이라는 표현을 버려야할 때인 것 같다면서 12월 정책회의에서 테이퍼링 가속화 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. 이에 대해 장단기 금리 반응은 엇갈렸지만 미국 국채 장기물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가 동반 진행됐고, 이러한 달러 약세를 반영해 이날 달러/원은 1180원대 초반으로 하락 출발했다. 리얼머니로 추정되는 공격적인 달러 매도세가 환율을 1170원대로 끌어내리면서 달러/ 원은 한때 낙폭이 10원까지 확대됐다. 코스피가 반도체 주가 급등에 힘입어 지난 2월 말 이후 최대폭인 2.14% 상승하고, 특 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9천억원어치를 매집하자 달러/원 상단은 더욱 눌렸다. 삼성전자는 4.35% 급등했다.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1월 수출은 전년동기비 32.1%로 로이터 전 망치인 27.7%를 크게 웃돌았고, 월간 수출액은 사상 첫 6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. 이중 반도체 수출은 40.1% 급증했다. 또한 대우조선해양이 약 1.5조원 상당의 수주 소식을 전했고, 이같은 재료도 달러/원 하락을 견인하는데 일조했다. 아시아 시간대 나스닥선물과 S&P500 선물은 1% 상당 오름세를 보였다. 다만 1170원대 후반에서는 역내 결제수요도 활발하게 들어오면서 이 부근에서는 지지 력이 확보된 채 마감했다. 한 은행 외환딜러는 "역외발 실물량이 나온 듯 한데 역내 수급은 결제도 꽤 나왔다"면 서 "1170원대는 과하다는 생각도 있다"라고 말했다. 다른 은행 외환딜러는 "외인 주식 매수세가 확대된 가운데 커스터디 관련 은행들이 달러를 엄청 팔았다"면서 "시장을 해석하기가 쉽지 않다"고 말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