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6:30(달러/원 마감 종합)-미-중 정상회담 이벤트 소화하며 변동성 확대..소폭 상승
달러/원 환율은 16일 1180원을 오르내리는 변동성 장세를 보이다가 소폭 상승 마감했다.
전일비 4.6원 오른 1183.0원 개장한 이후 오름폭을 모두 반납해 하락 전환했지만, 결국 1.5원 상승한 1179.9원
에 거래를 마쳤다.
간밤 미국 채권금리와 달러 가치 상승 여파에 1180원대로 상승 출발한 달러/원은 오전 미국과 중국 정상회담의
결과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며 하방 압력을 받았다.
간밤 달러지수가 16개월 최고치로 올랐지만, 달러/원은 주로 달러/위안 하락을 좇으며 일간 고점 대비 약 8원
낮은 1175원 선까지 되밀렸다.
이날 오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중국과 첫 정상회담이 화상으로 열린 가운데 양국 관계 개선 기대가
위안화를 비롯한 위험자산과 통화 강세를 부추겼다. 역외 달러/위안은 6.36 부근까지 밀려 지난 6월 이후 최저치
를 기록했다.
바이든 대통령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견지하면서도 무역 합의 이행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. 시진핑 중국
국가 주석은 미-중 무역 이슈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밝혔다.
또한, 환율이 1180원대로 상승 출발하자 대기 매물도 유입된 것으로 전해졌다.
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말 거주자 외화예금 자료에 따르면 10월 중 65.7억달러 급증해 사상 첫 1000억달러대
로 증가했다.
다만 미-중 정상회담 이벤트를 소화하면서 우호적인 분위기가 더 심화되지는 못했고, 이에 코스피는 하락 전환하
고, 역외 달러/위안도 반등했다.
달러/원 환율은 저점에서 꾸준히 반등하다 강보합권인 1180원 턱 밑인 1179.9원에서 최종거래됐다.
한 은행 외환 딜러는 "위안화 따라 움직인 듯하지만 점심시간 중 호가가 얇은 상황에서 의외로 환율이 많이
빠지긴 했다. 다만 오후에는 결제수요가 들어오면서 비디시해졌다"고 말했다.
이어 "오늘 장 중 변동성은 비교적 컸지만 11월 중 환율은 1170-1180원의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"이라고
덧붙였다.
다른 은행 외환 딜러는 "달러인덱스를 원화가 그대로 따라가지는 않고 있다. 달러 매물이 나오면서 수급상
다소 무거운 느낌"이라면서도"달러/원 환율의 방향은 아직 잡히지 않고 있다"고 말했다.